1919~1945, 중국에서 민주공화제의 독립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입니다.

<aside> 📰 미국 대한인국민회가 발행한 신문인 『신한민보』가 먼저 임시정부 수립을 주장했습니다.

한일병합조약 체결 직후인 1910년 9월 21일 자에서 "우리 손으로 자치하는 법률을 제정, 공법에 상당하는 임시정부를 설치하는 것이 급선무" 라는 주장을 내놓았습니다.

연이어 10월 5일 자에는 "대한인의 자치기관"이란 논설을 실어 ”대한인국민회가 자치 능력을 길러 장차 임시정부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aside>

임시의회를 설립해서 4월 10일 임시의정원을 구성하고 정부 수립 절차를 마련했습니다.

4월 11일에는 「대한민국임시헌장」이 반포되고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aside> 💡 대한민국임시정부 역경사

1. 상하이 시대 (1919~1932년)

출범 직후 파리강화회의에 대한 외교와 군사 활동에 집중하면서 법령과 제도를 정비했습니다.

연통제를 실시하고 교통국을 설치하여 연락망을 구축했습니다.

또한, 수립 당시부터 군사 활동을 주요 목표로 정했습니다. 군대를 편성하여 독립전쟁을 전개했고, 1920년을 독립전쟁 원년으로 선포하기도 했습니다.

김구는 청년들을 기반으로 한인애국단을 조직해서 이본창의거와 윤봉길의거를 실행에 옮겼습니다. 세계 각국의 언론이 윤봉길의 거사를 보도하면서 임시정부의 존재와 활동이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2. 이동 시대 (1932~1940년)

임시정부는 한인애국단의 활약으로 세상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지만 또 다른 고난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1932년, 일본이 윤봉길 의거의 배후 수색에 나서면서 임시정부 요인들은 급히 상하이로 떠나야 했습니다.

1932년 5월 상하이를 떠난 후 항저우 · 전장 · 창사 · 광저우 · 류저우 · 치장을 거쳐 1940년 9월 충칭에 정착하기까지 8년여에 걸친 이동 시대를 거쳤습니다.

3. 충칭 시대 (1940~1945년)

임시정부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세계 각국의 승인이 필요했습니다.

임시정부의 승인 외교는 전후 처리에 있어 임시정부가 연합국의 일원으로서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고 신탁통치가 아닌 스스로의 힘으로 독립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모색의 일환이었습니다.

하지만 미군정은 거부했고, 임시정부 지도자들은 개인 자격으로 귀국했습니다. 승인 문제가 헌법 체계를 갖추고 20년이 넘게 명맥을 유지하였던 임시정부의 운명을 바꿨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동경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동경로

</aside>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독립단체

<aside> 🔙 중국

</aside>